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시성(2002년 10월 6일)을 맞아 작성된 “옵세르바토레 로마노” 특별 부록에 실린 베네딕토 교황의 구두 연설 녹취록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대한 감사와 애도의 표시로, 이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시성 (2002년 10월 6일)을 맞아 작성된 “옵세르바토레 로마노” 특별 부록에 실린 라칭거 추기경의 구두 연설 녹취록을 한국어로 게시합니다.

저는 항상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가 오푸스데이 (Opus Dei) 라는 이름에 부여한 의미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이 해석은 우리가 전기적(biographical)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해석이며 설립자의 영적 형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에스크리바는 자신이 무언가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그것이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며 자신은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주님께서 그를 단순히 사용하셨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그의 일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업, 즉 "Opus Dei“ [”하느님의 일“ 을 뜻하는 라틴어]이라는 것을 확신했습니다. 에스크리바는 단지 하느님께서 사용하신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태도를 생각할 때 요한복음 5장 17절에 담긴 주님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내 아버지는 항상 일하신다.”이 말씀은 하느님께서 안식일에도 역사하실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지 않는 몇몇 율법학자들과 토론하면서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우리 시대의 사람들과 심지어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진행중인 논쟁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하느님이 창조 후에 “은퇴”하여 더 이상 우리의 일상 업무에 관심을 보이지 않으신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사고방식으로는 하느님께서 우리 일상 생활에 개입하실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은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하느님 앞에 마음을 열고 있는 사람은 하느님이 항상 일하고 계시고 오늘날에도 역사하신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안에 하느님을 받아들여 그분이 우리 안에서 더욱 쉽게 역사하도록 해야 합니다. 미래를 열고 인류를 새롭게 하는 것들이 이렇게 탄생합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가 자신을 “창시자”로 여기지 않았는지, 왜 그는 자신을 오직 하느님의 뜻을 성취하고 그 행동, 즉 하느님의 일을 지원하기를 원하는 사람으로만 여겼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신중심주의는 제게 매우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끊임없이 활동하시기 때문에 이 세상에서 물러나신 것이 아니며, 오직 우리 자신을 하느님 앞에 놓고, 사용하실 수 있게 하고, 그분의 부르심에 응답할 수 있게 하는 것만이 우리에게 달렸다고 믿는 예수님의 말씀과 일치합니다. 이 메시지는 또한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유혹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 즉 빅뱅 이후 하느님이 역사에서 물러났다고 생각하는 가식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메시지입니다. 하느님의 활동은 빅뱅의 순간에 “멈춘”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세계와 인간 세계 모두에서 계속됩니다.

오푸스데이의 설립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발명한 것이 없으며, 모든 것을 하신 분은 다른 분이십니다. 나는 그를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우리가 오푸스데이라고 부르는 이름과 모든 현실은 설립자의 내적 삶과 깊이 얽혀 있습니다. 설립자는 이 시점에서 매우 신중히 행동하려고 노력하면서도 우리를 창조하시고 우리를 위해 그리고 우리와 함께 일하시는 분과의 진정한 접촉 속에서 끊임없는 대화를 계속하셨음을 암시합니다. 탈출기(33장11절)은 모세에 대해 “친구가 친구에게 말하듯이” 하느님께서 그에게 얼굴을 맞대고 말씀하셨다고 말합니다. 비록 신중함의 베일에 많은 사실 들이 숨겨져 있지만, “친구처럼 말하는 것은 친구에게 말하는 것”이라는 말을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게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말씀은 하느님께서 현존하시고 역사하시며 모든 것을 변화시키실 수 있도록 세상의 문을 열어줍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거룩함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거룩함에 대한 보편적 소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역사에 대해 조금만 알고 시성화 과정에서 “영웅적” 미덕을 추구한다고 생각한다면 불가피하게 거룩함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것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야”, “영웅적 덕을 실천할 능력이 없다고 느낀다”, “나에게는 너무 높은 이상이다”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거룩함은 제단위에 있는 일부 “위대한” 사람들의 것이 되며, 그들은 우리 일반 죄인들과는 매우 다른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거룩함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생각일 것입니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은 바로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 의해 수정됐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이것이 핵심인 것 같습니다.

영웅적 미덕이란 성인의 거룩함이 마치 체조경기(gymnastic)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감당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사람의 삶 안에서 하느님의 존재가 드러남을 의미합니다. 즉, 모든 일은 인간이 스스로, 그리고 자신을 통해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아마도 결국 이것은 용어상의 문제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영웅적”이라는 형용사는 종종 잘못 해석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영웅적 덕목이란 인간 스스로 위대한 일을 해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그가 투명하고 하느님의 일을 하기 위해 준비가 되었기 때문에, 그 스스로 하지 않은 현실이 그 삶에 나타는 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거룩하다는 것은 친구가 친구에게 말하는 것처럼 하느님과 대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거룩함입니다.

거룩하다는 것은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성인은 매우 약하고 인생에서 수많은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거룩함은 하느님과의 깊은 접촉이며 하느님과 친구가 되는 것입니다. 거룩함은 세상을 진정을로 선하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신 하느님께서 일하시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가 말하는 모든 사람이 성인으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결국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직접 놀라운 일을 한 것이 아닌 그저 하느님께서 일하시도록 내버려 두었기 때문입니다. 그히하여 인간의 약점이 영원히 남아 있더라도 세상에 선을 가져다주는 위대한 쇄신이 탄생하게된것입니다.

진실로 우리 모두는 능력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과의 우정에 마음을 열고, 그분의 손을 놓지 않고, 돌아서서 주님께 돌아가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그분과 친구처럼 대화하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주님은 모든 사람의 진정한 친구이며, 또한 스스로 위대한 일을 할 수 없는 모든 사람들의 진정한 친구라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것을 통하여, 저는 오푸스데이의 구조학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즉, 교회의 위대한 전통과 신앙에 대한 절대적인 충실함, 학계에서든 직장에서든 이 세상의 모든 도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개방성의 놀라운 결합을 더 잘 이해하게 됐습니다. 그분과 함께하면 새로운 도전에 감히 대응할 수 있고 두려움이 없습니다. 하느님의 손 안에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항상 그분 손에 넘어가기 때문입니다. 신의, 이것이 바로 두려움이 사라지고 오늘날 세상의 도전에 대응할 용기가 탄생하는 방법입니다.

영어 버전, 

https://opusdei.org/en/article...

성 호세마리아와 오푸스데이에서 베네딕토 16세(라칭거 추기경)의 모든 글을 찾을 수 있습니다. 

https://opusdei.org/es-es/arti...